수학 잘 하는 아이의 5가지 습관
공부는 습관이 중요하다. 수학 공부도 역시 습관이 중요하다. 수학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 어렸을때부터 가져야할 5가지 습관이 있다. 지금부터 소개하도록 하겠다.
1. 자기주도성
학생들 중에는 쉬운 문제든 어려운 문제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학생이 있다. 이런 학생들은 수업 시간 내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간혹 질문을 하더라도 간단한 힌트만을 요구하며 자신이 풀 수 있을 것 같으면 다시 도전하고자 한다. 이와 반대되는 학생들도 있다. 어렸을 때부터 부모의 도움을 받으며 수학 공부를 해온 학생들이다. 이런 학생들은 수학 실력이 늘 수 없다. 수학 문제는 문제해결력을 요구한다. 늘 다른 사람에 의존하던 학생들은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없다. 수학 실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기주도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2. 내 언어로 정리하는 습관
수학 개념을 자기만의 언어로 정리하여, 스스로 이해하기 편한 방식으로 재배열하여 정리하는 학생들이 있다. 이런 학생들은 메타인지가 뛰어난 학생들이다. 거꾸로 스스로 정리를 하면서 메타인지가 향상된다. 자신만의 언어로 정리하면서 개념에 대해 완벽하게 이해하게 된다. 이렇게 정리를 하게 되면 모르는 문제에 대해서도 스스로 정리하게 되며 새로운 문제에 대한 습득이 완벽하고 빠르다. 수학은 단계형으로 쌓아올라가야 하는 학문이다. 내 언어로 정리하는 습관을 가진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수월하다.
3. 역질문
역질문은 수학 문제에 호기심을 가지고 '내가 제대로 알고 있나?', '내가 이해 못하는 부분은 없나?'하고 스스로를 되짚어보는 것을 말합니다. 역질문을 통해 수학 문제를 풀면서 자신이 완벽하게 잘 알고 있는지 스스로 점검해보게 됩니다. 다른 해결 방법을 없을까? 생각해보는 것도 역질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수학 실력이 부쩍부쩍 향상될 수 밖에 없습니다.
4. 성실성
수학은 그 어떤 과목보다 연습이 많이 필요한 과목이다. 매일 매일 일정한 훈련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성실한 학습 습관이 필수적이다. 성실성을 기르기 위해 매일 일정 시간 학습하는 것을 빼먹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일정 시간 학습하는 것을 당연하게 만드는 것이다. 성실성은 수학 뿐 아니라 다른 과목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습관이다. 따라서 다른 어떤 습관보다 중요하다. 좋은 성적은 꾸준한 공부를 통해 거둘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5. 스스로 짜는 학습 계획
스스로 학습 계획을 하는 것은 공부를 자신이 주인이 되게 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이다. 자기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움으로써 스스로 수학 공부가 가능해진다. 또한 공부의 효율이 올라간다. 명확한 목표가 생기면 이를 달성하고 싶은 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공부를 마치고 난 후에는 계획을 점검하므로써 공부가 잘 되었는지 점검해 볼 수 있다. 똑같은 양을 하더라고 계획을 세우고 공부를 하면 성취감이 배가된다. 자신의 계획이 성공했다는 성취감을 함께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5가지 습관은 수학을 공부하기 위해 가져야할 기본 습관이다. 우리는 많은 과정을 습관에 맡기며 살아가고 있다. 결국 좋은 수학 공부 습관을 가지고 있다면 수학을 잘 할 수 있다. 때문에 공부하라는 잔소리를 하기 보다 좋은 공부 습관을 만들어 주는 것이 백번 좋은 방법이다.
<참고문헌: 수학 잘하는 아이는 이렇게 공부합니다>